1. 게임의 특징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은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진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진짜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스토리의 엔딩이 실제로 바뀐다.
1) 선택과 결과의 연결성
- 멀티플 엔딩 구조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은 플레이어가 내리는 선택에 따라 스토리가 완전히 달라지는 멀티플 엔딩 구조로 만들어졌다.
- 각각의 선택은 작은 대화부터 캐릭터의 생사에 이르는 주요 사건까지 영향을 미치고 플레이어의 결정은 각 주인공의 운명뿐만 아니라 게임 세계관 디트로이트 전체의 미래를 바꿀 수가 있다.
- 예를 들자면 코너가 사건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따라 마커스가 평화적 혁명을 선택할지 아니면 폭력을 사용할지에 따라 엔딩이 크게 달라진다.
- 브랜치드 스토리라인
- 게임의 스토리는 나뭇가지처럼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면서 각 플레이어의 경험은 여러 플레이를 하지 않은이상 전부 다르다.
- 플레이어는 진행 중 언제든 선택을 되돌릴 수 없고 각 선택의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데 이는 게임의 긴장감을 높힌다.
2) 영화 같은 그래픽과 연출
- 사실적인 그래픽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은 실사 같은 그래픽으로 캐릭터들의 표정, 움직임, 그리고 환경을 정교하게 표현해서 그런지 몰입감이 장난아니다.
- 특히나 주인공 캐릭터들은 실제 배우를 모델링하고 모션 캡처로 제작되었고 등장인물들의 감정 표현이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 영화적 연출
- 게임의 카메라 앵글과 컷신 연출은 마치 내가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하게 경험을 제공해준다.
- 각 장면은 긴장감을 조성하거나 감동을 극대화하기 위해 디테일하게 설계되었고 플레이어의 선택이 이러한 연출에 반영되어서 더욱 몰입감을 느끼게 해준다.
3) 몰입형 게임플레이
- 상호작용 기반 게임플레이
- 플레이어는 단순히 스토리를 관람하는 것이 아닌 게임 내 환경과 캐릭터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스토리를 진행하게된다.
- 증거를 분석하거나 퍼즐을 풀어야 하는 상황에서도 게임을 진행하는 플레이어는 직접 탐구하고 선택해야 한다.
- 디테일한 세계관 탐색
- 플레이어는 디트로이트의 각종 사물과 대화를 통해서 미래 사회의 배경 정보를 파악하고 안드로이드와 인간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가 전개된다.
2. 스토리와 세계관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의 스토리는 미래의 디스토피아적 사회에서 안드로이드와 인간의 갈등을 다루면서 동시에 깊은 철학적 질문을 던진다.
1) 세 주인공의 이야기
- 코너 : 안드로이드 탐정
- 코너는 안드로이드의 반란을 막기 위해 경찰과 협력하는 탐정 안드로이드이다.
- 그는 인간과 안드로이드 사이에서 충돌하는 자신의 정체성과 임무 사이에서 매우 갈등하게 되며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운명이 결정된다.
- 예를 들자면 어떤 스토리에서는 플레이어는 코너가 인간에 충성할 것인지, 아니면 안드로이드의 편에 설 것인지 선택해야 하도록 이야기가 전개된다.
- 카라 : 가정용 안드로이드
- 카라는 가정용 안드로이드로써 학대받는 소녀 "앨리스"를 구하기 위해 주인을 떠나 도망친다.
- 그녀의 스토리는 모성애와 생존 본능, 그리고 안드로이드로서의 한계를 뛰어넘는 여정을 보여준다.
- 플레이어는 카라와 앨리스가 안전한 곳으로 도망치도록 이끌거나 그 과정에서 희생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 마커스 : 혁명의 리더
- 마커스는 반란의 상징으로써 억압받는 안드로이드를 이끌며 혁명의 리더 안드로이드로 성장한다.
- 그의 스토리는 평화적인 혁명과 폭력적 저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도덕적 딜레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마커스는 구원자가 될 수도있고 강경적인 파괴자가 될 수도 있다.
2) 디스토피아적 미래 사회
- 안드로이드의 사회적 위치
- 2038년의 디트로이트는 안드로이드가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며 발전한 도시이지만 동시에 일자리를 많이 뺏어가면서 인간과 안드로이드 간의 갈등이 매우 심화된 사회이다.
- 안드로이드는 단순한 도구로 취급되고 차별과 학대를 당하는 모습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를 투영한다.
- 인간성과 자유의 철학적 질문
- 게임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기계가 감정을 가질 수 있는가?","만약 감정이라는 것을 가진 기계가 나온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와 같은 깊은 질문을 던지면서 플레이어들에게 선택의 순간들을 제시한다.
3. 인기 요인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은 단순히 게임을 넘어서 예술적 스토리텔링과 깊은 메시지를 전달한다.
1) 방대한 선택지와 재플레이 가치
- 다양한 엔딩과 스토리 분기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은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서 40개 이상의 엔딩이 존재하는데 각기 다른 스토리 분기를 제공한다.
- 플레이어는 여러 번의 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결과를 경험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게임을 탐구할 수 있다.
- 선택의 무게감
- 게임은 선택의 결과가 캐릭터와 세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다 중요한 선택을 요구하게 되고 플레이어는 모든 선택에 신중을 기하게 된다.
- 이는 게임의 몰입도를 크게 높이는 매우 강력한 요소로 손꼽힌다.
2) 현대 사회와의 연결성
- 현실 문제 반영
- 게임은 기술 발전, 노동 대체, 차별과 자유라는 현대 사회의 문제를 반영하고 외면 할 수 없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 철학적 질문의 제시
- "기계가 영혼 혹은 감정을 가진다면 당신은 어떻게 할 것 인가?"와 같은 철학적 질문은 게임을 단순한 오락을 넘어, 예술적 작품으로 평가받게 만들었다.
3) 그래픽과 사운드의 완성도
- 실감 나는 그래픽
- 디테일한 캐릭터와 환경 묘사는 플레이어들에게 몰입감을 제공한다.
- 감동적인 OST
- 각 캐릭터별로 제작된 OST는 게임의 분위기를 극대화하면서 감정을 한층 고조시킨다.
선택과 결과, 철학적 메시지, 그리고 몰입도 높은 스토리
안드로이드와 인간의 갈등을 다루며
현대 사회에 대한 깊은 질문
감정적인 몰입과 예술적인 스토리텔링을 경험하고 싶다면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을 강력히 추천한다.